top of page

[과거의 애주가들] 술을 사랑한 문인(文人) 정철 "한 잔 먹세 그려, 또 한 잔 먹세 그러세"





학창 시절 질리도록 읽고 외운 관동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 등 가사 문학 작품들을 기억하시는지 모르겠습니다. 가사문학은 운문과 산문의 중간 형태로 조선 시대를 관통하며 지속적으로 전해 내려온 문학의 한 갈래입니다. 가사문학 이야기를 먼저 꺼낸 것은 바로 '세상을 흔든 애주가’가 이번에 소개할 인물이 바로 가사문학의 대가이자 서인의 영수 송강 정철이기 때문입니다.


송강 정철은 당대 최고 애주가로 꼽히는 인물입니다. 수많은 작품이 있었지만 술에 대한 시조는 무려 20여 수가 된다고 합니다. 그가 애주가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가장 결정적인 작품은 바로 ‘장진주사 (將進酒辭)’입니다. 바로 중국의 대표 문인이자 애주가인 이백의 <장진주> 영향을 받았다고 알려진 작품이죠.


“한 잔 먹세 그려/또 한 잔 먹세 그려/꽃을 꺾어 세어가며/ 무진 무진 먹세 그려”라는 구절로 시작되는 이 시는 탐미주의적 관점과 규율에 얽매이지 말자는 노장사상과 허무주의를 ‘권주가(勸酒歌:술을 권하는 노래)’로 표현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기존 한문투를 벗어나 3.4조 운율에 우리말을 자유자재로 구사한 송강의 권주가는 오늘말로 정말이지 ‘라임’이 넘치는 시입니다.


뿐만 아닙니다. 송강의 술 사랑에 대해 익히 들어 왔던 많은 후대들은 그의 대표작 관동별곡, 사미인곡에 나타난 세세하고 감성적인 표현 또한 그가 술과 자연을 함께 즐기면서 썼을 것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술에 대한 사랑이 조금은 과했던 걸까요? 선조실록을 보면 송강의 주벽을 탄원하는 사례도 많았던 것 같습니다.


‘도승지 정철은 술주정이 심하고 광망(狂妄)하니 해임 하소서’라거나 ‘예조 판서 정철은 술을 좋아하고 실성(失性)하여 지난날 승진 발탁했던 일에 대해서도 물의가 많으니...개정 하소서’라고 사간원에서까지 문제제기가 됐습니다. 선조 역시 송강의 술 버릇을 고치고자 작은 은잔으로 하루 세 잔만 먹도록 했지만 그는 은잔을 아예 넓게 펴서 주발로 만들어 마셨다고 합니다. 왕의 선의와 신임으로 다시 서용되긴 했으나 술로 인한 파직의 수모와 지탄은 끝내 송강을 따라다녔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 모두 술은 다들 적당히 먹는걸로 타협합시다.



조회수 2회댓글 0개

Comentarios


bottom of page